출산 보육 지원금
저출산시대, 아이는 희망!
출산 보육 지원금 소개
출산·보육지원금은 정부와 지자체가 아이를 낳고 키우는 가정의 경제적 부담을 줄이기 위해 출산 직후부터 돌봄·양육·보육까지 단계별로 제공하는 금전적 또는 서비스 형태의 지원입니다 📱
🌏 출산 보유 지원금
자세한 내용을 아래에서 확인하세요!
✅ 주요 출산·보육 지원금 종류
•
1. 첫만남이용권 – 출생 시 200만 원 일시지원
대상: 2022년 1월 1일 이후 출생한 모든 신생아
내용: 출생 축하금으로 200만 원 상당 국민행복카드 포인트 지급
사용처: 기저귀, 분유, 육아용품, 병원비 등 아동 관련 지출 가능
신청처: 복지로 또는 주민센터 (출생신고 시 자동안내)
2. 부모급여 – 0~1세 가정 월 현금 지원
대상: 2023년 이후 출생한 0~1세 아동의 부모
내용:
만 0세: 월 100만 원
만 1세: 월 50만 원
어린이집 이용 시, 보육료 차감 후 차액 지급
신청처: 복지로 또는 주민센터
3. 영아수당 – 어린이집 미이용 시 현금 지급
대상: 만 0~1세 영아 중 가정양육 아동
내용: 월 최대 30만 원(보육료를 받지 않는 경우에만 해당)
※ 2023년부터는 부모급여에 통합 운영
4. 아동수당 – 8세 미만 모든 아동
대상: 만 0~7세 아동 전원 (출생연도 기준 만 8세 되는 달까지)
내용: 매월 10만 원씩 현금 지급
신청처: 복지로 또는 주민센터
5. 가정양육수당 – 어린이집 이용하지 않는 경우
대상: 만 86개월(약 7세) 미만 아동
내용:
만 0세: 월 20만 원
만 1세: 월 15만 원
만 2세 이상: 월 10만 원
특징: 어린이집, 유치원 등 보육기관 미이용 시 받을 수 있음
6. 다자녀 가구 추가지원 (지자체별)
대상: 자녀 2명 이상인 가정
내용:
셋째 이상 출산 시 출산축하금 추가 지원 (지자체별로 최대 수백만 원까지 차등)
일부 지역은 전기요금 감면, 자동차세 감면, 수도요금 감면 등 부가혜택 포함
신청처: 해당 지자체 홈페이지 또는 주민센터
7. 출산장려금 (지자체별 운영)
대상: 출생신고 시점 기준 일정 기간 거주 중인 가정
내용: 지자체에 따라 첫째 30만100만 원, 셋째 이상 200만500만 원까지 현금 지급
특징: 지역에 따라 금액과 조건이 크게 다르므로 거주지 확인 필수
8. 아이돌봄서비스 바우처
대상: 소득에 따라 아이돌보미 이용료 지원
내용: 시간제 또는 종일제 돌봄 서비스 제공 (최대 85% 비용 지원)
신청처: 아이돌봄서비스 홈페이지 또는 읍면동 행정복지센터.